목록R (3)

바이러스나 사회관계망은 초선형 동역학에 따라서 체계적으로 증가한다. 크기(또는 사람의 수)는 상호작용으로 삶의 속도(전파속도)를 체계적으로 증가시킨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이론이다. [그림 1] 크기에 따른 삶의 속도 바이러스나 전염관련 예측은 시계열적 추이를 수리화한 비구조적 모형(reduced-form model)을 주로 이용한다. 단순하지만 많이 활용하는 게 탄생-성장-소멸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로지스틱성장곡선(logistic growth curve) 모형이다. 로지스틱곡선에 관한 읽을거리는 산타페 연구소(Santa Fe Institute)의 최근 보고서를 읽어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다음은 전형적인 닫힌계의 로지스틱성장곡선의 예이다. 여기서 ‘닫힌계’란 세포나 바이러스가 이용할 수 있는 자원이 ..

"통계학은 과학이다!." 통계학은 “불확실한 상황에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학문”이다. 본격적인 분석에 앞서 자료를 정리하는 과정과 본격적인 분석과정에서 가설(Hypothesis: 잠정적인 진술)이 어느 곳으로 수렴하는지 윤곽을 잡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특히나 통계분석과정에서 시각화(visualization)는 어떤 현상에 대한 단순하면서 체계적이고 규칙적인 무언가가 있음을 금방 알아 차릴 수 있게 해 준다. Data can tell us a story, but may not be the true story. 2020년 4월 15일에 실시된 21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특히, 사전선거 결과에 대해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많다. 지인들 중에는 자료..

“모든 것은 모든 것에 잇닿아 있다.”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Jorge Luis Borges)- “경제, 세포, 인터넷 등과 같이 매우 상이한 시스템들 간에 ‘연결’이라는 유사성이 발견된다.”-바라바시, 2002-. 하루빨리 코로나 19(COVID-19)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안정을 찾는 사회가 되었으면 한다. 바이러스 역습으로 불안한 삶, 이동성이 평균보다 낮아지는 삶 등으로 경제에도 악영향을 끼치며 인류를 위협하고 있다. 바이러스는 10~1000nm(나노미터ㆍ10억분의 1m)로 홀로 살 수 없어 사람과 또 다른 생명체 기생하며 목숨을 유지하며 인류에 위해를 가한다. 1918년 스페인 독감에독부터 2002년 사스, 2009년 신종플루, 2015년 메르스바이러스까지 인간을 괴롭혀 온 바이러스에 대하여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