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SEM (2)

PL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모델방정식(SEM)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PLS는 Herman Wold(1975)에 의해서 개발된 것으로 최근에는 경영학, 경제학, 교육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PLS의 장점은 빠른 예측모델 개발에 있다." -김계수- PLS는 요인간의 관계설명보다는 빠른 예측이 주된 목적이다. PLS는 반영모델(Reflective Model)과 조형지표모델(Formative Model), 재귀모델(Recursive Model) 등에서 분석이 가능하다. PLS는 개별합성지수들로 요인을 계산하며, PLS는 측정변수 사이의 공분산을 산출하지 않는다. 구조방정식모델에서와 달리 PLS에서는 자유도에 큰 의미를 두지 않는다. 분석에 주안점을 두는 PLS분석에는 반드시 ..

모든 일에는 원인과 결과가 있기 마련이다. 우주의 원칙은 인과율이 작용한다. 원인은 성과의 어머니이며, 결과는 원인의 자식이다. 성과는 또한 가시적이며 감각으로 느낄 수 있다. 그럼에도 원하는 성과나 결과를 이해하지 못하면 사람들은 그것을 ‘행운’ 혹은 ‘불운’이라는 단어를 생각한다. 결과는 원인이 시간이라는 파이프라인을 지나면서 구체화된 것이다. 인간이 체감하는 행운은 성과를 호의적으로 해석하는 감정이 작용한 것이다. 반대로 불운은 기대보다 훨씬 못 미쳐 실망하는 정신적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인과율을 이야기 하다보니 자연스레 인과분석(因果分析)과 구조방정식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같은 통계분석에도 관심이 많고 이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이런 연구를 하는 과..